마지막 키워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K-배터리 점유율 '뚝'…활로는? <br /> <br />글로벌 경쟁력이 높은 산업 중 하나죠. <br /> <br />K-배터리의 글로벌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전기차 수요 둔화, 이른바 '캐즘'에도 세계적인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는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의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510.1 GWh로 예상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2년 같은 기간보다는 75% 이상 급증했고요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도 21.7% 이상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성장세 자체는 조금 줄었지만, 전기차 수요둔화에도 하이브리드 등을 중심으로 수요 자체가 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세계를 선도하던 우리 k-배터리 3사의 점유율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월까지 한국 배터리 3사는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의 21.1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LG에너지솔루션과 SK온, 삼성SDI가 각각 3위와 5위, 7위를 유지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.4% 포인트 정도 점유율이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중국의 CATL과 BYD의 경우 1년 만에 25% 이상 몸집을 키우면서 글로벌 점유율 1, 2위 자리를 지켰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실 배터리 업계 모두가 어렵다고 하면 이해가 되는데, 왜 중국업체만 잘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확히는 높은 기술력을 갖고 있지만, 때를 잘못 만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배터리 3사가 그동안 집중해온 건 니켈, 코발트, 망간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삼원계 배터리입니다. <br /> <br />주행 가능 거리가 길고 무게도 가벼워서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반면, 가격이 비싸고 높은 온도에 더 취약하다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전기차 화재 우려가 커지면서 이런 삼원계 배터리 대신, <br /> <br />주행거리가 짧지만 저렴하고 조금 더 안정적인 LFP 배터리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중국 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집중해온 제품이기도 한데, <br /> <br />여기에 중국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유럽과 미국까지 진출하면서 상대적인 우위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히려 높은 기술력을 추구하다가 선두를 빼앗긴 건데, 우리 업체들은 그럼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우리 배터리 3사 모두 중국업체들이 차지했던 LFP 배터리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완성차 업계로부터 LFP 주문을 받아 양산을 앞둔 곳도 있고요. <br /> <br />아예 LFP를 활용한 ESS 에너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0717283778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